남해 송정리 내 한옥주택마을 조감도제작 시대적 배경 과 도시한옥주택의 발생을 이야기하다.

2022. 4. 18. 00:05##DESIGN/건축C.G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산58-1 위치한 한옥 단독주택 조감도제작 도시한옥군의 정의와 도시한옥군의 가치를 소개해드립니다.

남해 송정리 조감도제작 사례↓↓

송정리 조감도

남해 송정리 특성과 가치
1) 시대적 배경
16~17세기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주의적 사회경제를 지향하는 상황이 농·공·상
업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18세기말에는 건축에서도 현저한 발전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하
였다. 당시 건축기술의 발달과 각종 기기의 도입, 자재수급의 혁신, 인력수급의 개선에
의해 건축분야에서도 탈봉건적, 봉건해체적 추이가 보이는데 이것은 18, 19세기 궁궐공
사에서 더욱 발전되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자생적 자본주의는 지속적인 발전을 하지 못한채 19세기말에 외
래 자본주의의 침탈로 그 싹이 무참히 꺽이고 식민지 자본주의가 우리 나라를 지배하
게 되는 과정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건축에서도 전통적인 생산기술은 급격하게
후퇴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일본의 건설분야는 우리 나라의 개항과 동시에 불법·합법적으로 입국하여 제
국주의 확장을 목적으로 식민지 건설산업의 효율적 기반조성을 위해 각종 토목사업을
벌임으로서 도로공사, 철도공사, 간척공사, 항만공사, 하천 및 제방공사 등 크고 작은
건축공사를 독점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강제병합 이후에 더욱 노골화되어 절
충식 서구풍 건축물 뿐만 아니라 일식주택 건축이 성행하였다.
결국 민족 토착자본이 거의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시 대자본으로 발전한 일본의
건설업이 국내건설업을 독점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고,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은 점차
그 명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후 3.1민족해방운동을 전후하여 농촌의 계층분화와 함께
이농현상이 급증하고 제1차 세계대전 후의 호황을 탄 일본의 각종 자본의 상륙으로 인
해 아직 채 형성되지 못한 한국의 민간 자본세력은 심대한 타격을 받아 극도로 위축되
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 이르러서야 이전의 지방 지주층이 민족수탈에 자극되어 민
족기업 설립에 앞장서기 시작한다.

2) 도시한옥의 발생
일제강점기의 건설 및 건축공사의 경우 관급공사를 비롯한 대규모 공사는 일본인에
게 독점된 상태에서, 조선인들은 지방의 소규모 공사와 같이 일본인들이 손대기 힘든
영역을 대상으로 소규모 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는 업종을 찾아야 했다. 이 과정에서
우리의 전통적 특성을 활용한 업종이 유리함을 알게 되었고, 도시인구 급증으로 주택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옥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 주택건설업이 증가하게 된다. 전통 주
택건설업은 생산자 자신의 의도 및 형편에도 맞을 뿐만 아니라 집이 없는 서민들의 요
구에도 상호 합치되어 많은 실적을 올리게 된다.
1910~1918년에 걸쳐 실시된 토지조사와 함께 일본의 대자본에 의한 농지매수와 철
도·도로·항만 등의 건설은 농촌인구의 도시 집중현상을 초래하였고, 계급사회의 해체에
따른 상민·천민의 사회적·경제적 성장의 결과로 형성된 신흥자본가들이 도시에 한옥을
짓고 집단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1920년대 중반이후 본격적인 도시한옥 건설
업자가 출현하게 되었고, 30년대에는 크게 발전하였으며 이후 일제의 국내자본에 대한
성장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도시한옥건설이 서울과 지방에서 이루어졌다.
전주의 경우, 전주부성의 성벽 철거와 가로 정비(시구개정)에 의해 조성된 도심부는
1920~1930년대 일본의 경제적 침투 및 상업자본의 번성에 따라 일본인이 독점하였다.
한편, 1930년대 전후 호남평야에서 농업 생산으로 부를 축적한 대·소 지주와 상업활동
의 활성화로 자본을 축적한 중소상인들이 신흥자본가가 되어 교동·풍남동 일대에 고급
주택가인 한옥집단지역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이 지역의 한옥 주택은 해방을 거쳐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되었으나 1970년
대 중반이후에는 한옥보존지구 등의 동결적 보존정책이 시행되면서 더 이상의 한옥 신
축이 중단되고 기존에 공급된 한옥들은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과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증·개축을 통한 공간변형이 서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옥조감도


1) 도시한옥군의 정의
우리나라의 전통주택을 통칭하여 한옥이라 한다. 한옥에 대한 정의 및 특징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나 공통적으로는 구들(방)과 마루, 처마와 기와지붕, 댓돌(기단)과 보석
(步石) 및 섬돌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특징을 갖는 한옥이 도시에서 발생하여
농촌주택의 특징을 도시 여건에 적합하게 진화 혹은 적응된 주택을 도시한옥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한일합방 이후 도시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도시로의 인구집중과 이에 따른 상업 활
동의 활성화를 배경으로 자생적으로 형성된 도시한옥군은 서울, 전주, 대구, 경주 등의
전통적 도시에 건축적·공간 구조적 측면에서 각 도시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며 형성
되었다.

01


2) 송정리 한옥주택의 특성
송정리의 도시한옥은 민가와 해남 지역의 부농주택에 기초를 둔 일자형
및 ㄱ자형 주택이 도시의 좁은 대지에서 합리적, 경제적인 공간활용에 대응하여 겹집
화 및 실이 부가되는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건축물 배치의 구성은 안채와 부속건물로
이루어지는데 일부는 부속건물이 없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나,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더불어 부속건물 및 가재기 등 실의 부가현상이 두드러진다.
한옥의 규모를 결정짓는 안채의 간수에 의해 분류해 보면 3간에서 7간까지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예산시 도시한옥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화 방법 중의 하나가 실의 부가라
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지와 정지방이 겹집화 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보통 정지가 뒷편에, 그리고 정지방이 앞편에 위치하는데 이는 민가에서 필요한 부엌
의 기능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호서지방 민가의 영향으로 중앙에 대청마루가 없으며,
대신 안채가 중앙에 위치한다.

0123
한옥 단독주택 투시도


이른바 가재기라는 것이 거의 모든 집에 되어 있는데 이는 실내 공간을 확장하기 위
한 목적으로 기존의 벽·지붕에 덧대어 실을 추가한 것으로, 가재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부엌과 화장실 등 외부 물사용 공간을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목적이거나, 안채와 주
위의 벽과의 사이를 막아서 쓰는 경우이다.
예산 도시한옥군의 가구구조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막다른 골목이 도로에서
가구 내부로 진입하는 보조가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골목의 가로경관 형성에 있
어서 서울의 북촌한옥마을은 건축물(문간채)이 연속되어 있는데 비해 전주에서는 담장
이 중요한 공간구성요소로 되어 있어 비교적 여유로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남해 한옥주택마을 배치도제작 사례↓↓




한옥조감도 제작사례

축척된 노하우   조감도제작, 조감도 항공사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제작비를 낮추며 합리적 가격으로
고객들에게 준공 전후의 비전을 시각화해드립니다!
조감도제작 조감도가격 조감도작업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하세요. 
이상 파이크CiiGii 김실장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젝트 문의 
H.P :010 5232 9926 T: 070 4531 9926
E-mail :  pikecg75@gmail.com
Homepage :  https://www.pikecg.com/

조감도제작,광역조감도제작,조감도가격,,조감도cg,3d건축,건축 cg,투시도조감도,한옥,한옥주택,한옥단독주택